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꿀벌이 멸종하면 벌어지는 일, 군집붕괴현상

꿀정보

by 꿀렁이 2023. 3. 27. 02:31

본문

꿀벌은 지구상에서 인간 다음으로 많은 개체수를 가지고 있는 동물입니다. 꿀벌 한 마리당 약 2만 개의 알을 낳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이 살아남아 번식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엄청난 숫자의 꿀벌들이 사라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꿀벌

꿀벌이 왜 멸종위기종인가

꿀벌은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주는 수분매개체로서 생태계 유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벌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먹이가 부족해지면서 꿀벌의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지난 100년간 꿀벌의 개체수가 40%나 감소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벌집 1개 당 4~5마리의 벌이 살지만 2020년엔 0.7마리밖에 남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꿀벌이 멸종하면 어떻게 될까?

꿀벌이 사라진다면 당장 과일과 채소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식량난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꽃 수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농작물 생산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고,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에게 치명적이랍니다. 그리고 양봉업 종사자분들에게는 생계수단인 꿀벌이 없어진다는 건 상상하기도 싫은 끔찍한 일이죠.


왜 갑자기 꿀벌 숫자가 줄어들었을까

최근 미국에서는 꿀벌 감소 현상인 ‘군집붕괴현상’(CCD)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나 바이러스 감염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또한 국내에서도 토종벌이 원인 모를 질병으로 집단 폐사하거나 여왕벌이 사라지면서 양봉 농가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뉴스기사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우선 정부차원에서 전국 단위의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국민들 역시 환경보호 및 자연생태계 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실천한다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우리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지구온난화란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나면서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이용, 일회용품 사용 자제, 분리수거 생활화 등 일상생활 속 작은 습관에서부터 변화가 필요합니다.

 

지구온난화 문제는 이제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닙니다. 지금부터라도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겁니다. 모두들 파이팅!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