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은 지구상에서 인간 다음으로 많은 개체수를 가지고 있는 동물입니다. 꿀벌 한 마리당 약 2만 개의 알을 낳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이 살아남아 번식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엄청난 숫자의 꿀벌들이 사라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꿀벌은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주는 수분매개체로서 생태계 유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벌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먹이가 부족해지면서 꿀벌의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지난 100년간 꿀벌의 개체수가 40%나 감소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벌집 1개 당 4~5마리의 벌이 살지만 2020년엔 0.7마리밖에 남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꿀벌이 사라진다면 당장 과일과 채소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식량난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꽃 수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농작물 생산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고,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에게 치명적이랍니다. 그리고 양봉업 종사자분들에게는 생계수단인 꿀벌이 없어진다는 건 상상하기도 싫은 끔찍한 일이죠.
최근 미국에서는 꿀벌 감소 현상인 ‘군집붕괴현상’(CCD)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나 바이러스 감염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또한 국내에서도 토종벌이 원인 모를 질병으로 집단 폐사하거나 여왕벌이 사라지면서 양봉 농가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뉴스기사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우선 정부차원에서 전국 단위의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국민들 역시 환경보호 및 자연생태계 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실천한다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지구온난화란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나면서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이용, 일회용품 사용 자제, 분리수거 생활화 등 일상생활 속 작은 습관에서부터 변화가 필요합니다.
지구온난화 문제는 이제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닙니다. 지금부터라도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겁니다. 모두들 파이팅!
물 많이 마시면 좋은 점, 하루 물 권장량 (0) | 2023.03.31 |
---|---|
목감기에 좋은 음식은 무엇이 있을까? (0) | 2023.03.29 |
우리가 금연을 해야 하는 이유 (1) | 2023.03.26 |
유자차 효능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3.03.24 |
허리디스크에 좋은 자세를 알아보자 (0) | 2023.03.21 |
댓글 영역